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QUICK MENU
  • 사이트맵
  • KUPID

교과과정

1. 기초공통과목

CHS 501 민속학개론(Introduction to Ethnography) [3]
민속학의 범위와 내용을 연구하고 인접 학문인 역사학, 인류학, 언어학, 민족학을 대비하여 연구한다.


CHS 502 박물관학 연구(Museum Studies) [3]
세계와 한국 박물관의 역사, 기능, 민속학․고고학․사학과의 관계 등을 검토한다.


CHS 503 문화재학 연구(Cultural Resource Studies) [3]
문화재의 개념, 학문으로서의 문화재, 그것의 사회적 효용, 각국의 연구 현황 등의 문제를 검토한다.


CHS 504 고고학 연구(Archaeology Studies) [3]
고고학의 태동기에서부터 19세기 과학으로서의 고고학의 성립과정 및 현대고고학에로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유적, 유물 및 사회상을 파악한다.


CHS 505 한국미술사(History of Ancient Korean Art) [3]
선사시대 이래 한국 미술의 역사를 미술비평, 미학, 미술교육, 종교학, 역사학, 사회학, 심리학과 기타 인문과학의 성과들을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2. 전공분야 <민속학(Ethnography) 분야>

CHS 601 문화인류학(Cultural Anthropology) [3]
문화진화론, 전파주의, 역사주의, 기능주의, 구조주의, 상징주의 등 사회인류학과 문화인류학의 주요 이론들을 역사적으로 개관함으로써 사회문화 현상을 분석하는 다양한 접근방법을 비교 검토한다.


CHS 602 현지조사와 방법론(Fieldwork and Methodology) [3]
민속문화 현장의 다양한 접근을 위해 인식론적, 역사적,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을 살펴보고 민속연구의 기술적 측면을 살펴본다. 다양한 조사방법론을 통해 민속현장에서 실제로 조사를 실시하여 보고서와 향토지를 만든다. 민속학이라는 학문의 발전 속에서 현지연구의 전통이 갖는 의미, 연구자의 현지체험과 윤리문제 등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CHS 603 한국생활사(History of Everyday Life in Korea) [3]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문화적 행위인 일상생활이 시대적으로 어떠한 변화과정을 보이고 있는가를 고찰하고 그 변화에 영향을 끼친 변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민속학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특히 한국인의 생활이 고대에서 중세를 거쳐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CHS 604 마을생활(Village Life) [3]
전통적인 생활공동체인 마을의 생태적 배경 및 생활문화의 내용과 성격을 규명함으로써 생활문화의 개인적, 집단적, 제도적 차원을 분석하고 농업문화의 본질과 변화에 대한 문제점을 추구한다. 또한 마을신앙을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마을의 공동체의식을 고찰한다.


CHS 605 가족과 친족(Family and Kinship) [3]
사회구조의 기본원리를 이해하는데 기초단위인 가족, 친족을 연구하기 위해 가족형태, 혼인제도, 친족조직, 친족용어 등을 살펴본다. 아울러 가족 및 친족 조직과 변화상을 사회제도와의 관련 속에서 비교 검토한다.


CHS 606 통과의례(Rites of Passage) [3]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거쳐야 하는 사회적 지위 변화에 따른 상징적 의례 행위의 의미를 파악한다. 아울러 통시적 변화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문화적 행위의 주체로서 인간에 대한 이해의 차원을 높인다. 한국인의 평생의례인 관혼상제를 통해 한국인의 철학관과 우주관을 검토한다.


CHS 607 무속신앙(Shamanism) [3]
역사적으로 한국의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무속신앙의 내용과 변화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무속신앙이 민속에 끼친 영향을 검토하고 생활문화와의 관계를 고찰한다. 또한 역사적 변화 속에서 무속신앙이 어떤 역할을 하였으며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고찰한다.


CHS 608 민간신앙(Folk Belief) [3]
민간신앙의 종류와 신앙의 내용, 형태와 제의에 대해 살펴본다. 아울러 민간신앙이 한국의 전통적인 생활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를 검토한다. 한편 오늘날의 생활문화에서 어떤 형태로 잔존하고 생활문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CHS 609 세시풍속(Annual Customs) [3]
세시에 따른 의례와 행사의 의미를 고찰하고 농업사회의 문화 성격을 규명한다. 또 그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시대별 생활문화의 특성을 검토한다. 아울러 해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세시풍속을 농경의례와 관련하여 사회적, 종교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CHS 610 민속예술(Folk Arts) [3]
민속음악, 민속미술, 민속무용, 민속극 등이 지닌 민속문화 가치에 대해 탐구한다. 생활체험의 미적 표현양식인 민속극의 제반 내용과 양식과 가치를 분석한다. 민속극의 기능과 그 심미성을 분석하고, 그 계승방향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한다. 특히 대중예술, 엘리트예술과의 비교를 통하여 현대적 의의를 조명한다.


CHS 611 민속문학(Folk Literature) [3]
민속문학의 구비전승적 성격과 갈래별 특징에 따라 한국 민속문학의 전반적 양상을 파악한다. 아울러 구비 전승된 여러 양식의 형성과정과 변용을 고찰한다. 또한 그 내용 속에 담겨있는 생활관과 의식을 분석하여 생활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CHS 612 생업민속(Subsistence and Folklore) [3]
농촌, 산촌, 어촌의 생업과 그 물질적 도구 및 채집, 수렵, 어로 기술과 영농방식 등을 포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생활문화의 생태적 성격을 탐구한다. 아울러 생업기술과 생활문화 형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CHS 613 축제와 놀이(Festival and Games) [3]
전통사회 이래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비일상적 삶의 핵심을 이루는 축제와 놀이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을 통하여 그 본질과 구조를 해명하고 전통의 지속과 변화를 분석한다. 고유의 민속놀이와 축제의 종류와 내용을 살펴보고 문화적 기반에 대하여 고찰한다.


CHS 614 민속학사(History of Ethnography) [3]
민속학의 생성과 발전 과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론과 방법론의 검토, 민속학의 동향을 살펴본다. 시대별로 학문적 관심이 집중된 연구 분야에 대한 의의와 성과를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또 민속학의 연구사를 통해 한국 민속학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CHS 615 역사민속학(Historical Ethnography) [3]
현지조사 자료를 고고학 자료나 문헌사료와 연결시키고 인근 민족의 자료와 비교연구를 하는 역사민속학의 방법론과 관점에 대해 살펴본다. 민속의 발생, 전개, 변화의 요인을 역사적 배경과 논리 속에서 분석함으로써 문화현상의 시공을 역동적으로 이해한다.


CHS 616 비교민속학(Comparative Ethnography) [3]
한국의 민속이나 생활문화를 동북아시아 제민족의 민속이나 생활문화와 비교연구를 통해서 특수성과 보편성을 밝히고, 민족문화의 기원과 형성에 대해 살펴본다.


CHS 617 북한의 민속학(Ethnography in North Korea) [3]
남한과 북한은 이데올로기에 의해 민속이 달라진 점이 많다. 북한에서는 민속에 대해 어떤 이론과 방법론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또한 북한의 민속학 연구 성과를 분야별로 살펴보고 남한과의 차이에 대한 정치사회적 배경과 의미를 고찰한다.


CHS 618 민속과 현실(New Directions in Folklore) [3]
자료수집과 연구방향을 모색함으로써 민속연구의 실천적 기능을 탐구한다. 국제화시대에 조응하여 한국의 민속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에 대해 고찰한다.


CHS 619 민속과 여성(Folklore and Women) [3]
민속에서 여성의 지위와 그들이 이룩한 민속갈래의 내용을 살펴본다. 특히 한국민속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대한 바 그 위상과 내용을 종류별로 고찰한다.


CHS 620 문화정책과 문화행정(Cultural Policy and Administration) [3]
21세기 문화시대를 대비하여 선진국들의 문화정책과 문화행정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문화정책과 문화행정의 기본틀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둔다. 또 일선 문화행정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적 소양과 관련법을 중점 검토한다.


CHS 621 민속유물 보존방법(Preservation of Folk Culture) [3]
사라져 가고 있는 민속유물에 대하여 문화재로서의 대책 및 유물 정리방법 등을 살펴보고 민속유물을 보는 안목을 양성한다. 또한 민속유물에 대한 영구 보존과 방법에 대하여 이론과 실험을 통해 살펴본다.


CHS 622 민속영상론(Folk Media Theory) [3]
영상기기들이 민속학적 조사연구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소개하면서 영상민속학의 실천적 방법을 살펴본다. 특히 정보화시대에 각종 문화자료를 영상매체를 통해 어떻게 축적하고 자료화하여 전달할 것인가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CHS 623 민속문화와 관광(Folk Culture and Tourism) [3]
문화산업을 주도할 민속문화와 관광산업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굴뚝없는 산업’인 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 중요성이 무각되는 각국의 민속을 비교연구함으로써 민속문화와 관광산업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CHS 624 문화지리학(Cultural Geography) [3]
문화지리학을 통해 민속학과 박물관학에 지리학이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가를 집중 탐구한다.


CHS 625 한국의 고건축(Korean Architecture) [3]
한국 고유의 건축 방식과 미를 다른 나라의 건축과 비교연구를 통해 탐구한다.


CHS 626 서양건축사(History of European Architecture) [3]
서양 건축의 변화와 흐름을 미술사와 건축학 등 다양한 관점을 통해 학습한다.


CHS 627 민속학특강 1(Ethnography:Seminar 1) [3]
주로 석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민속학 관련 논저 중에서 쟁점이 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CHS 628 민속학특강 2(Issues in Ethnography:Seminar 2) [3]
주로 박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민속학 관련 논저 중에서 쟁점이 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CHS 629 민속학세미나 1(Ethnography:Directions of Dissertations 1) [3]
주로 석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민속학 관련 논문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과제를 정하고 조사하여 발표와 토론을 한다.


CHS 630 민속학세미나 2(Ethnography:Directions of Dissertations 2) [3]
주로 박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민속학 관련 논문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과제를 정하고 조사하여 발표와 토론을 한다.


CHS 631 민속학특수연구 1(Ethnography:Advanced Seminar 1) [3]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민속학 관련 특정 주제를 정하여 최근의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집중 연구한다.


CHS 632 민속학특수연구 2(Ethnography:Advanced Seminar 2) [3]
주로 박사과정을 대상으로 민속학 관련 특정 주제를 정하여 최근의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집중 연구한다. 한국인의 평생의례인 관혼상제를 통해 한국인의 철학관과 우주관을 검토한다.


3. 전공분야 <박물관학(Museology) 분야>

CHS 701 문화정책(Cultural Policy) [3]
문화정책의 기본개념과 발전방향 등을 비롯해서 문화기반, 문화산업, 문화행정의 개혁 등 문화정책 각 분야에 대해 살펴본다. 문화정책의 행위자, 제도, 정책수단을 연구하며 문화경제학과 문화산업을 창조산업의 시각에서 이해한다.


CHS 702 박물관 현장실습(Museum Internships) [3]
박물관 미술관 현장에서의 실습을 통해 박물관의 조직, 소장품관리, 전시기획, 교육, 자료실 운영, 정보자료의 제작과 배포 등의 실무를 파악한다.


CHS 703 박물관 전시기획론 (Museum Exhibition Planning) [3]
박물관의 전시기획에서부터 연출시나리오 작성, 콘티작성, 전시물 선정, 배치, 명찰, 전시실패널 작성 및 배치, 조명연출, 전시환경 조정, 전시효과 측정 및 평가, 전시물 보완 및 운영에 이르는 전반적 실무지식과 경험을 익히고 그에 따른 이론과 방법을 학술적으로 접근한다. 다양한 전시기획 사례 연구를 통해 그것이 현대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CHS 704 유물보존처리론(Conservation & Restoration) [3]
보존과학에 관한 기초이론과 방법론 및 열화현상, 보존환경, 전시환경 등을 이해하고, 박물관 자료의 보존처리에 관한 악화예방조치, 보존(보전), 보강, 보수(수리), 복제, 중건(복원), 재평가 등에 관한 이론과 실무를 익힌다.


CHS 705 박물관 교육(Museum Education) [3]
박물관, 미술관을 통한 교육이론과 교수법,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교육의 장으로서 박물관과 미술관의 기능, 문화교육자로서 학예사의 역할에 대해 학습한다. 각급 학교와의 연계교육 프로그램 또는 특정집단(직업, 연령, 성별 등)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운영하는 실무지식과 경험을 익힌다.


CHS 706 박물관 경영(Museum Management) [3]
박물관 또는 미술관의 경영, 전문인력 관리, 자료의 수집과 정보관리, 자산관리, 예산편성과 운영, 결산 및 감사제도, 마케팅론 등에 관한 실무지식과 경험을 익힌다.


CHS 707 박물관 건축(Museum Architecture) [3]
박물관 미술관의 건물과 공간에 관해 살펴본다. 박물관 건축의 역사와 유형을 조사하고 유물수장고, 관람동선, 편의시설, 전시실과 조명, 안전시설 등을 연구한다.


CHS 708 문화예술관련법규(Law in Culture and Art) [3]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지적소유권과 저작권법, 문예진흥법 등과 예술관련 법규에 대해 살펴본다. 전시 기획과 박물관 운영에 적용되는 제반 관련법을 연구한다.


CHS 709 유적지연구조사(Researches into the Vestiges) [3]
박물관 밖의 박물관 개념과 이론을 도입하여 유적지의 박물학적 관리와 보존을 위한 아이템을 개발한다. 전 국토의 박물관화 라는 시대적 당위성을 학술적으로 정립한다.


CHS 710 전시사 연구(Museography & Exhibition Design) [3]
전시의 발달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학예사로서 전시에 관한 기초지식과 기획능력을 익힌다.


CHS 711 미술품과 미술시장(Arts Market) [3]
미술시장의 형성배경과 역사, 미술품이나 장식품의 거래 패턴과 유형, 미술품의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이해를 통한 미술시장의 특징과 경매의 중요성을 학습한다. 아트마켓의 구성과 운영주체, 미술시장에서 기업의 역할 등을 조명한다.


CHS 712 사이버 박물관 연구(On-line System Museum) [3]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웹사이드와 인터넷 망을 이용한 가상박물관의 가능성과 현황을 살펴보고 그것의 설립과 운영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CHS 713 동양미술사(History of Oriental Art) [3]
선사시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중국, 일본, 인도, 서역 등지의 미술사를 연구한다. 동양미술의 사상과 형식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미술품에 대한 비평안을 높인다.


CHS 714 서양미술사(History of Western Art) [3]
선사시대에서 현대까지 서양미술의 역사를 다양한 인문과학적 성과와 비평안을 가지고 연구 분석한다. 각각의 시대와 지역에 따라 분절된 미술사의 마디를 파악한다.


CHS 715 한국회화사 연구(History of Korean Painting) [3]
한국 회화에 나타난 시대별 양식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아울러 회화의 각 시대 정신과 가치 그리고 한국적 특성을 탐구한다.


CHS 716 한국조각사연구(History of Korean Sculpture) [3]
한국 조각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시대적 변천에 따른 특징을 이해하며, 나아가 조각에 대한 한국인의 자세를 통시대적으로 탐구한다.


CHS 717 한국공예사연구(History of Korean Craft Art) [3]
도자, 금속, 유리, 목칠, 섬유 등 공예 분야에서 탁월한 예술적 경지를 펼쳐낸 한국인의 공예세계를 연구한다.


CHS 718 한국건축사연구(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3]
한국 건축사의 시대적 특성을 탐구하며 인간과 자연의 관계속에서 건축에 대한 한국인의 자세를 살펴본다.


CHS 719 한국도자사연구(History of Korean Ceramics) [3]
한국 도자의 재료와 제작기법을 고찰하고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도자 양식 변천과 대외 교류를 살펴본다.


CHS 720 토기문화론(The Pottery Analysis) [3]
인간이 남긴 유물 중 가장 많은 일상생활 용기인 토기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를 통하여 그 시대의 문화상을 연구한다.


CHS 721 석기문화론(The Lithic Analysis) [3]
토기와 더불어 기본적 생산 도구로서 철이 발견되기 전까지 인간의 주요 도구였던 석기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당시의 생활상이 문화상 등에 관한 다각적 검토를 학습한다.


CHS 722 서지학 연구(bibliography Studies) [3]
서적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 비평, 연구, 기술하는 학문이다. 책에 대해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본문과 본문의 내용, 책의 물리적 형태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한다.


CHS 723 박물관 자료의 해석과 감정(Museum methodology) [3]
박물관자료의 조사․연구를 통해서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전시기획과 연출 및 교육활동에 관한 이론과 실무를 배우고 익히며, 분과학문별, 영역별로 박물관자료의 감정에 관한 실무적인 지식과 경험을 배우고 익힌다.


CHS 724 박물관 섭외와 교류(Museum strategy & Marketing) [3]
박물관 섭외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배우고 익히며, 지역 공동체 또는 박물관 사이의 연계망(network) 구축을 통해서 박물관 전문인력의 교류와 박물관 자료 및 정보의 교류 또는 공유를 위한 실무적인 지식과 경험을 배우고 익힌다.


CHS 725 소장품 운영과 방법론(Management of Objects and Collections) [3]
소장품의 활용을 위해서 소장품의 다양한 수집방법, 다양한 분류체계, 다양한 정리방법, 전시 및 연구 등의 다양한 활용방법, 운용방법에 대하여 가장 포괄적인 이해를 통해 전문분야별 심도 깊은 운용방법론을 습득한다.


CHS 726 미학 예술론 연구(Aesthetic studies) [3]
미와 예술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미술 비평의 주요 관점을 파악하고, 미술사의 인문학적 배경 지식을 습득한다.


CHS 727 박물관 콘텐츠 개발(Museum contents development) [3]
국내외 박물관 경영의 사례연구를 통해 관람객 중심의 새로운 박물관 프로그램 개발, 시장조사, 마케팅 기획에 대한 심층적 고찰과 21세기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운영방식을 도출한다.


CHS 728 박물관 역사(History of museum) [3]
박물관의 기원과 변화 과정을 역사적 단계별로 분석하고, 19세기 근대적 개념의 박물관 출현과 이후 현대적 개념의 박물관 형성 과정을 조사 연구한다.


CHS 729 세계의 박물관(Museum of the world) [3]
세계 주요 박물관들의 역사와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의 박물관 정책과 전시기법을 연구함으로써, 최근 서구 문화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박물관에 관한 국제적 경향과 주요 쟁점을 습득한다.


CHS 730 박물관과 관광(Museum and Tourism) [3]
각국의 박물관 운영실태를 비교연구함으로써 관광산업과 박물관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살펴본다.


CHS 731 박물관학특강 (Museology:Seminar) [3]
박물관학 관련 논저 중에서 쟁점이 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CHS 732 박물관학특수연구(Museology:Advanced Seminar) [3]
박물관학 관련 특정 주제를 정하여 최근의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집중 연구한다.